728x90 반응형 SMALL 유니티25 #013 유니티 구글 플레이 로그인 구현 (파이어베이스 버전 체크, 데이터 관리) #012 게시글에서 생성한 구글 스크립트는 삭제 후 새로운 스크립트로 유니티 구글 플레이 로그인 구현 및 데이터 관리를 구현해보았다. 우선, 파이어베이스 버전을 체크하여 '앱이 최신 업그레이드 버전인지' 확인하는 코드를 작성했다. 파이어베이스 서버를 통해 1. 우선, 반드시 google-services 파일이 유니티 프로젝트 창에 있어야한다. (파이어베이스에서 로그인 후 다운로드 가능) 2. 버전 체크하는 오브젝트에 VersionChecker 스크립트를 컴포넌트 하고, 관련 오브젝트를 할당했다. 3. VersionChecker 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. using UnityEngine; using Firebase; using Firebase.Database; using System; using U.. 2024. 4. 15. #012 유니티 구글 플레이 로그인 구현 (GPGS 로그인, 업적, 리더보드, 이벤트) 1. 개발자 콘솔 - 대시보드 - 앱클릭 - 앱설정 - 앱 엑세스 권한 - 사용으로 설정 2. 개발자 콘솔 - play 게임즈 서비스 - 설정 및 관리 - 설정 - 속성 수정 - 저장된 게임 '사용'으로 체크 3. 구글 클라우드 콘솔 - 라이브러리 - sdk 검색 - Google Workspace Marketplace SDK 클릭 후 사용 클릭 3. 구글 클라우드 콘솔 - api 및 서비스 - 사용자 인증 정보에 반드시 OAuth 2.0 클라이언트 ID 3개 있어야함 (안드로이드 2개와 클라이언트 id 1개) 여기서 안드로이드 아이디 2개는 각각 테스트 앱과 실행하는 앱 서명이 들어간 클라이언트이고, 웹 애플리케이션은 서버 id임 4. 3번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ID 복사 유니티 - Window .. 2024. 4. 12. #문제해결 유니티 Error SignInRequest Setting result error status code to: 16 유니티 Error SignInRequest Setting result error status code to: 16 유니티 빌드앤런한 후 핸드폰에서 GPGS 로그인 시도 시 로그인 실패하고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뜸 문제해결 방법 시도: 유니티 - 파일 - 빌드셋팅 - 플레이어 셋팅 - Publishing Settings - Build - Custom Proguard File 활성화 체크 후 표시 되는 경로로 찾아가서 텍스트 파일 열고 아래 내용 복붙하기 -keep class com.google.games.** { _; } -keep interface com.google.games._* { *; } 저장 후 다시 빌드앤런 시도해보니 똑같은 오류가 뜸 구글 개발자 콘솔에 로그인 - Play 게임즈 서비스 - 설.. 2024. 4. 12. #문제해결 유니티 ERROR: Gradle failed to fetch dependencies 유니티 - External Dependency Manager - Android Resolves - Force Resolve 클릭 시 에러 발생 문제해결 방법 유니티로 2d게임 제작후 빌드 시(aab파일) 정상적으로 빌드는 되지만, 위와 같이 Force Resolve 시도 시 에러 발생 에러 문구는 아래와 같이 뜸 ERROR: Gradle failed to fetch dependencies.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. Run with --info or --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. Run with --scan to get full insights...이하 생략(아주 길다) 문제 해결 시도 방법 (아래 2가지 시도 후 에.. 2024. 4. 12. #문제해결 유니티 ERROR: JAVA_HOME is not set and no 'java' command could be found in your PATH. 유니티 - External Dependency Manager - Android Resolves - Force Resolve 클릭 시 에러 발생 문제해결 방법 ERROR: JAVA_HOME is not set and no 'java' command could be found in your PATH. 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in your environment to match the location of your Java installation. 위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 JAVA를 설치한 적이 없으므로, JAVA_HOME 이라는 환경 변수를 설정해줘야함 1. 우선 JAVA 설치 jdk-17.0.10_doc-all.zip 파일 다운로드 2. 내PC - 마우스 우클릭하여 속성.. 2024. 4. 9. #011 파이어베이스 유니티 구현 (서버 연동, 이메일 계정 생성, 로그인, 로그아웃) 파이어베이스 회원가입 및 프로젝트 생성하기 https://firebase.google.com/?hl=ko 유니티에 아래와 같이 작업하기 1. 유니티에 다운로드한 FirebaseAnalytics 파일과 FirebaseAuth 파일 두개만 임포트하기 2. 파이어베이스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제이슨 파일 유니티 에셋에 추가 3. 유니티 하이어라키창에 관련 UI 생성 - inputField 2개(이메일, 패스워드) - 버튼 3개(계정생성, 로그인, 로그아웃) - text 1개 (로그인 정보를 전달할 텍스트창) 4. 스크립트 2개 생성(FirebaseAuthManager와 Loginsystem) FirebaseAuthManager 스크립트 using System.Collections; using System.Col.. 2024. 4. 9. #010 애니메이션 원하는 구간에 스크립트 코드 실행하기 (음악 재생, 비활성화 등) 스프라이트 오브젝트에 컴포넌트된 애니메이터의 애니메이션 원하는 구간에 음악 재생하는 방법 1. 키보드 컨트롤+6 누르면 애니메이션 팝업창이 뜸 2. 오디오 매니저 스크립트 생성 후 아래와 같이 코드 작성 public AudioSource AttackAudioSource; public AudioClip Sound_Attack; public void PlayAttackAudioSource() { AttackAudioSource.PlayOneShot(Sound_Attack); } 3. 해당 스크립트를 애니메이터가 달린 스프라이트 오브젝트에 컴포넌트하고, 오디오 소스와 오디오 클립 할당하기 4. 원하는 구간에서 마우스 우클릭 → Add Animation Event 클릭 5. 이제 이벤트를 생성한 구간을 클릭하면.. 2024. 4. 1. #009 공격 버튼 쿨타임, 카운트, fill amount, 애니메이션 제어 공격 버튼을 클릭 했을 때 이벤트를 아래와 같이 설정 1. 버튼을 누르는 동안 fill amount 값이 감소, text값이 100에서 0으로 줄어듬(정수만 출력) 2. 버튼 fill amount 값이 0이 되었을 때 버튼 기능 off 3. 버튼에서 손을 때면 fill amount 값이 증가, text값이 0에서 100까지 증가(정수만 출력) 4. 작성한 코드를 버튼 오브젝트 Event Trigger 컴포넌트에 입력 (Pointer Up, Pointer Down) //공격 버튼 ui public Button AttackButton; // 애니메이션을 제어할 버튼 public Animator AtteackAnimator; // 애니메이터 컴포넌트 private bool AttackButtonPressed .. 2024. 4. 1. #008 스크롤 가로 리스트 제작 (도감 목록) 1. 리스트 생성 1) UI 이미지 오브젝트 생성 → Rect Transform Pivot x=0, y=1 2) Scroll Rect 컴포넌트 추가 → Horizontal 부분 체크 활성화 → Movement Type을 Elastic 으로 변경 3) Mask 컴포넌트 추가 2. 콘텐츠 오브젝트 생성 1) 빈 오브젝트 생성 → Rect Transform 부분을 좌측 상단으로 지정, Pivot x=0, y=1 2) Content Size Fitter 컴포넌트 추가 → Horizontal Fit을 Preferred Size로 변경 3) Horizontal Layout Group 컴포넌트 추가 4) 1번에서 만든 List 이미지 오브젝트의 Scroll Rect 컴포넌트에 Contents 오브젝트 할당 3. Co.. 2024. 2. 27.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 LIST